728x90

Chapter 3. 사진은 을 담는 기술이다.

"나"로 말하자면, 살아온 방식 상 한 점의 오류도 없이 오직 한 방향으로만 나아갔었다. 그것은 바로 도덕적 측면이었다. 그런데 그 와중에 인간의 절대적이고 근원적인 이중성을 나 자신이 몸소 체험하게 되었다. 의식 속에서 갈등하는 두 개의 본성을 본 것이다….
- 지킬 박사와 하이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잠시 영원한 고전, ‘지킬 박사와 하이드’를 읽으셨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던 ‘근원적인 이중성’은 우리가 사진을 찍는 데 가장 중요한 ‘빛’이라는 요소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밝은 부분이 있다면 그에 반대되는 어두운 부분도 생기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림자를 팔아 거래를 한다는 서양 속담이 있을 정도로 빛과 그림자, 명과 암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요소를 사진에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빛과 그림자의 가장 큰 대비를 보여주는 뮤지컬 “지킬과 하이드”의 한 장면 - 출처 : 오디컴퍼니

빛을 담다.

첫째, 빛의 마법사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노출’이라는 단어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사진에 노출되는 빛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은 마음에 드는 사진을 남기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극단적으로 노출을 줄이거나 높이는 방법으로 촬영자의 의도를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좌) 처음 촬영했던 아침 시간의 복도 / (우) 동일 시간에 의도적으로 밝기를 낮춰 명암을 강조한 복도


주로 휴대폰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는 우리는 프레임 내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또는 기준을 맞추고 싶은 부분을 콕 누르게 되면 빛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촬영 후 보정을 많이 하지 않더라도, 이렇게 당시의 노출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화사한 느낌을 주거나 쓸쓸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저는 필터 어플의 인위적인 색감 변화를 좋아하지 않아서 특히 음식 사진을 찍을 때는 기본 카메라에서 밝기만 올려서 찍는 편입니다.

마음대로 빛의 양을 줄이고 늘릴 수 있다니 이 정도면 정말 우리는 빛의 마술사가 아닐까요?

둘째, 지금 빛은 어디서 오지?

원하는 모습의 피사체나 풍경을 담기 위해서는 빛과 피사체와 촬영자인 나의 위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빛의 방향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순광 : 촬영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빛
- 역광 : 촬영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 빛
- 측광 : 옆에서 들어오는 방향의 빛
- 사광 : 약 45도(얼짱 각도?!)에서 들어오는 방향의 빛

일반적으로 인물 촬영 시에는 입체감과 자연스러운 태양의 느낌을 담는 사광을 선호하지만, 각 빛의 방향에 따른 장단점이 있기에 주고 싶은 느낌에 맞춰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광은 고양이가 가장 좋아하는 빛 이기도 합니다.


역광은 피사체의 디테일이 잘 보이지 않지만 빛 그 자체와 그림자, 실루엣을 강조하여 순광/사광에 비해 강렬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사진은 역광으로 찍어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많은 사진 작가님들이 좋아하는 촬영 방향이며 그만큼 원하는 사진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도 더러 있어서 도전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빛이기도 합니다.

역광의 빛, 실루엣, 그리고 퇴근 시간.. 완벽.


일반적으로는 역광의 빛이 강렬하기 때문에 조금 어둡게 촬영하는 것이 명암을 강조하는 데에 효과적이지만 오히려 노출을 올려 더 밝게 찍어 본다면 뜻밖의 ‘빛나는 실루엣’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역광에서 사진을 찍게 된다면 빛을 피사체 끝에 걸거나, 프레임 바깥쪽에 두거나, 밝기를 올리거나 낮춰보는 등의 다양한 도전을 해보길 추천해 드립니다.

과감한 밝기의 역광은 피사체의 윤곽을 빛나게 합니다. 그저 빛…


옆에서 오는 측광의 빛은 그림자를 만들고, 명암이 생기고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림자를 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질감이나 분위기 묘사에도 탁월한 촬영 방향이지만 한 피사체 내에서 명암이 뚜렷하게 생겨서 의도치 않은 강렬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고양이인가 배트맨인가. 귀여움으로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한 측광 사진


빛의 양도 조절하고, 방향도 우리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으니, 사진 촬영에서는 이보다 더 재밌는 장난감은 없는 것 같습니다. 이번 달에는 어떤 빛을 가지고 놀아볼까요?


<등대의 3화 틈새 TIP>
‘빛은 반사되는 거야’
앞서 이야기한 빛의 양이나 방향 이외에도 빛은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사진을 건질 수 있습니다.

  

호수에 비친 하늘



바다나 호수 등의 물에서, 혹은 유리나 거울에 비치는 모습을 함께 담아보는 건 어떨까요?

728x90

Chapter 1.
사진은 마음을 담는 기술이다.


사진寫眞’의 사전적 의미는 실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그려냄. 또는 그 그려낸 상. 입니다.
사진을 찍을 때 실물 모습을 있는 그대로 혹은 그 이상을 담아야 한다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거나, 시작하기도 전에 ‘똥손’을 자처하며 쉽게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친구나 연인이 ‘이렇게만 찍어줘’라는 요청 사항 그대로 찍었으나, 결과물을 보자마자 실망하는 모습을 보았을 때 자신감이 더더욱 사라지기도 합니다. 저도 사진을 취미로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더불어 성장하는 입장에서 여러분의 사진 자신감 회복을 위해 올 한해 몇 가지 팁을 제안할까 합니다.

애정을 담다.

빛의 방향, 각도, 구도, 색감 등 순간순간마다 사진을 찍는 기술은 다양하고 심도 깊지만, 그 모든 기술의 바탕이 되는 것은 피사체에 대한 마음입니다. 사진을 찍는 기술이나 노하우, 경험이 많지 않아도 애정을 듬뿍 담은 피사체나 모델을 찍은 사진은 그 사진만의 가치가 있습니다.
코로나 시대 이전 다녀왔던 여행 사진들이나, 연인 · 가족들과 찍었던 사진들을 보며 그때의 감정과 추억을 회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집 고양이 보리에게 애정을 담고 찍기


그 사람, 그 풍경, 그 사물과 함께하는 '그 순간'을 기억에 남기고 싶은 마음은 다시 꺼내 보아도 언제나 흐뭇한 미소를 짓게 되는 사진으로 남게 되거든요.
그러므로 항상 사진 찍는 순간만큼은 애정을 담아 피사체를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을 찍기 위해 애정을 듬뿍 담을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 드린다면 “고민하는 시간”과 “다양한 모습으로 많이 찍어보기” 입니다.


첫째, 고민하는 시간

여기서 어떤 마음을 담아 어떤 기록으로 남길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남자친구를, 여자친구를, 우리집 아기를, 고양이를, 강아지를, 혹은 지금 이곳의 풍경을, 여기서 어떻게 기억에 남기고 싶은지 고민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 사진은 독자분들께 첫인사를 드리기 위해 작가의 필명이자 정체성을 담은 등대를 촬영한 사진입니다. 어떻게 보면 단순한 피사체인 등대에 의미를 담아 사진을 찍고, 이 사진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참 많은 고민의 시간을 거쳤습니다.

‘가까이서? 멀리서? 오른쪽 바다와 함께? 왼쪽 가로등과 함께?
지금 사진을 찍기 위해 카메라로 보고 있는 작가의 시야를 여러분들에게도 보여드리는 건 어떨까?’

고민의 시간을 거친 끝에 나온 사진은 여러분께도 보여드릴 수 있고 사진첩에서 즐겨찾기에 등록될 수 있는 애정 담긴 사진이 되었습니다.


둘째, 다양한 모습으로 많이 찍기

고민하는 시간을 거친 후엔 최대한 “다양한 모습으로 많이 찍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고민을 마치고 촬영을 하여도 그 순간이 원하는 대로 담겼을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피사체를 다양한 모습으로 많이 찍어 두는 것이 필요하죠. 촬영의 공간에서 발걸음을 옮긴 순간부터는 셔터를 누르던 순간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보다 촬영된 많은 사진 중 마음에 드는 컷을 고르는 게 더 쉽기 때문이죠.

하나만 건지자 하나만...


해외 여행지에서 한국인은 한국인에게만 여행 사진 촬영을 부탁한다는 것도 이런 의미 아닐까요?
우리는 기념사진이 갖는 의미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으니까요. 이것이 한국인의 情!

고민하는 시간을 갖고
다양하게 많이 찰칵찰칵

이러한 일련의 촬영 전 마음가짐은 모두 피사체에 대한 애정을 사진에 담기 위함이라는 것을 한 번 더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등대의 1화 틈새 TIP>
“격자를 켜자”
카메라, 휴대폰의 격자 옵션만 켜도 수직/수평/평행을 맞추기 쉽습니다. 이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사진을 만들어줍니다!

갤럭시 : 카메라 앱-설정-수직/수평 안내선 ON
아이폰 : 설정-카메라-격자 ON

여기에 인물을 격자에 배치하거나 수직선/수평선을 2:1로 분할하는 선에 맞추신다면 훨씬 느낌 있는 구도로 만들 수 있답니다.

728x90

미러리스 (DSLR 포함) 구매 후 가장 큰 선택은

역시 '렌즈' 이다.

 

렌즈 교환식 카메라답게 수많은 렌즈들이 있고

이 중에 내가 딱 원하는 렌즈를 골라야한다.

 

렌즈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 디자인

- 가격

- 최소 조리개 값

- 줌 가능 여부

- 손떨방 유무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 화 각 "

 

내가 담고 싶은 사진의 모습이

어느 정도의 넓이인지를 알려주는 요소로,

흔히 mm 단위로 표시한다.

 

화'각'인데 왜 각도를 mm로 표시할까..?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봅시다!

 

화각 Angle of View

화각 : 카메라가 포착하는 장면의 시야

 

상하좌우를 모두 이야기하지만 보통 3:2, 16:9의 비율을 가진다. (출처 : wikimedia)

 

화각의 정의는 각도로 나오는 것이 맞다.

하지만 카메라에서의 화각은 렌즈의 초점거리와 관계가 있다.

그리고 초점거리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초점 거리 :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
*보통 렌즈의 절점(nodal point)과 이미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데
이 지점이 정확히 어디인지
외부에서는 파악하기 힘들다고 한다.
대략의 렌즈 길이로만 이해해도 될 듯 하다.

 

렌즈-이미지 센서 간의 거리가 초점거리이다.

 

그리고 아래 수식을 통해

이미지 센서의 크기, 초점 거리가

화각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 : 화각, K : 이미지 센서 크기, f : 초점거리

 

그리하여, 원래는 화각은 각도로 이야기하는 것이 맞지만

위와 같은 수식을 통해

간단히 초점 거리에 해당하는 mm로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초점 거리는 위의 정의가 맞지만

요즘에는 렌즈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촬영 거리라고도 부를 수 있는데

문맥에 따라 이해하자.

 

 

@정리@

장면의 시야를 뜻하는 화각은

렌즈-센서 간 '초점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초점 거리가 멀수록 화각이 좁아진다.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화각이 넓어진다.

 

그럼 이를 가지고 화각과 초점거리를 표현한
그림을 통해 쉽게 이해해보자.

 

풀프레임 기준 8mm는 정면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이 모든 일련의 과정은
풀프레임 카메라를 기준으로 한다.

풀프레임 카메라는 과거 필름 카메라의 필름과
동일한 사이즈의 이미지 센서를 갖기 때문에
카메라의 가장 기본이 된다.

자 그럼 크롭 바디에서는 어떻게 달라질까?

 

크롭 바디 vs 풀프레임 바디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글로 자세한 비교를 해 볼 예정이기에

오늘은 화각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해보자.

 

위에서 말한 풀프레임의 이미지 센서는 36mm x 24mm

(필름의 크기였던 35mm에 가장 근접)

이는 어느 카메라 제조사나 동일하다.

 

하지만 풀프레임 카메라의 크기와 무게는 상당하고

사람들은 편의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제조사마다 이미지 센서가 조금 더 작은

미러리스 카메라를 내놓기 시작했다.

소니의 a6000 시리즈, 캐논의 m5,6, 50 등

 

그 중 필자가 소유한 소니를 예를 들어보자.

소니는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의 2/3 크기인 센서를

크롭 바디에 채용하고 APS-C 라고 이야기한다.

센서 크기는 23.6mm x 15.8mm 이고

크롭 비율은 1:1.5

 

아까 화각 이야기 때의 수식이 기억나는가?

위로 올리기 귀찮으실테니 다시 한 번 복붙.

 

A : 화각, K : 이미지 센서 크기, f : 초점거리

 

이미지 센서 크기 K 값에 따라 화각이 변한다!

센서 크기 비율이 2/3 이기에, 풀프레임 화각에서도

2/3를 하면 크롭의 화각이 나온다.

반대로 크롭의 화각에 1.5를 곱하면 풀프레임 화각이 나온다.

크롭의 화각을 풀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환산화각' 이라 한다.

(소니는 1.5, 캐논과 니콘은 1.6을 곱한다.

크롭 센서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Example*

소니 크롭 24mm = 풀프레임 환산화각 36mm

소니 크롭 18mm = 풀프레임 환산화각 27mm

소니 크롭 105mm = 풀프레임 환산화각 157.5mm


자, 그럼 여기서 궁금증이 생긴다.

 

크롭렌즈를 풀프레임에 끼우면??

풀프레임 렌즈를 크롭 바디에 끼우면??

화각이 어떻게 바뀌는 거지??

 

 

1. 크롭렌즈를 풀프레임에 끼운다.

 

크롭렌즈에 써있는 화각을 환산화각으로 바꾸어 계산하여야 한다.

크롭 렌즈 35mm f1.8 은 풀프레임에 끼워서 촬영 시

환산 화각 52.5mm 가 되는 것이다.

= 풀프레임 전용 52.5mm 렌즈를 끼운 것과
같은 화각이라는 뜻.

→ 일부러 화각을 더 좁게 하기 위해서 사용은 가능하지만

크롭센서에 맞게 조정되기 때문에
화소도 거의 반 이상 줄어든다.

특별한 목적이 없다면 비추...

 

 

 

2. 풀프레임 렌즈를 크롭 바디에 끼운다.

 

풀프레임 렌즈에 써있는 화각을
환산화각으로 바꾸어 계산하여야 한다.

풀프레임 렌즈 35mm f1.8 은 풀프레임에 끼워서 촬영 시

환산 화각 52.5mm 가 되는 것이다.

= 풀프레임 전용 52.5mm 렌즈를 끼운 것과
같은 화각이라는 뜻.

→ 풀프레임 렌즈나 크롭 렌즈나 결국 동일한 화각의 렌즈는

크롭바디에서 동일한 화각을 갖는다.

→ 그러니 추후 풀프레임으로 업그레이드 할 생각이 있다면

풀프레임 렌즈를 사용해도 크롭 렌즈에 써 있는 화각과 동일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허나 풀프레임 렌즈가 더 비싸다... 심사숙고 하자..)

 

*Example*

소니 SEL35F18 (크롭용)

소니 SEL35F18F (풀프레임용)

을 크롭 바디에 끼우면 둘 다 동일하게

크롭 35mm (환산 화각 35x1.5=52.5mm) 적용

 

SEL35F18 / SEL35F18F 가격과 크기 차이가 꽤 있다.

 

 

결론적으로, 크롭 바디에는 어떤 렌즈를 써도 상관 없지만

풀프레임 바디에는 전용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각에 대한 원리와 적용법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는데,

 

이런 화각에 따라 렌즈군이 대략 나뉘어있다.

환산화각 기준으로 대략 아래와 같은데,

제조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다.

 

8~16mm : 초광각

16~35mm : 광각

35~70mm : 표준

70~200mm : 망원

200~ : 초망원

 

 

화각에 따른 사진을 비교해보자 / 출처 : photomodeler.com

 

 

물론 이런 참고 사진만으로는 자신의 화각을 찾기 힘들 수 있으니,

시작은 번들렌즈로

내가 찍고 싶은 메인 화각을 찾아보는 것을 목표로 해보자.

 

+ Recent posts